The vague definition of ‘Metaverse’
‘메타버스의 모호한 정의’를 주제로 교수시평이 국민대 신문사에 게재되었습니다.
—
[교수시평] 메타버스의 모호한 정의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디자인사이언스학과
조교수 박재완
2021년 상반기는 메타버스가 최대 화두이다. 국내에서의 급격한 유행은 올해 2월 글로벌 음성 기반 소셜 네트워크인 ‘클럽하우스’가 기폭제가 되었다. 또한 IT업계 유명인사가 메타버스의 새로운 비전을 제시하며 이에 대하여 대중의 관심이 쏠렸다. 정부 부처에서도 관련 정책을 다수 발표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아직 메타버스에 대한 정확한 정의도 없을 뿐 더러 그것을 온전히 다 이해하는 이도 없는데, 메타버스는 도대체 왜 수많은 이에게 거론되고 있을까? 메타버스의 정의는 무엇인가?
어원은 1992년 미국의 소설가 닐 스티븐슨의 세계관에서 시작되었다. 메타버스란 “초월이란 의미를 가진 메타(meta)와 현실 세계를 뜻하는 유니버스(universe)를 합성한 용어”로 기존 가상현실의 확장된 개념을 의미한다. 소설 기반의 어원은 일반 용어에 가까울 정도로 다의성을 내포하기 때문에 메타버스에 대한 정확한 이해는 어렵다. 이런 상황에서 언론매체는 메타버스에 대한 근본적인 논의보다 무분별한 장밋빛 청사진을 마구잡이로 내세우고 있다. 그러다 보니 해당 용어에 대한 대중의 신뢰도는 매우 낮다.
메타버스와 같은 새로운 전문 용어는 예로부터 전문가들의 활발한 논의 및 출판활동으로 일대일 대응성을 가진 전문 용어로 정립되었다. 그 예로 1968년 아이반 서덜랜드가 고안한 최초의 가상/증강현실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MD)의 경우, 개발 초기 장치의 크기와 무게 때문에 천장에 기계를 매달고 활용해야 불편함이 있었고, ..
이하 생략.
—
원문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http://press.kookmin.ac.kr/news/articleView.html?idxno=102138